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골절의 손상기전과 분류에 따른 특성

by 따뜻한 뚱이오빠 2022. 3. 29.

개요

 

 

 

골절(fracture)이란 강한 외력이 작용하여 뼈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말합니다. 큰 외력이 일시에 가해질 경우에는 외상성 골절, 힘이 지속적으로 주어지는 경우에는 피로골절, 병적으로 뼈의 조직이 침해되어 생기는 경우에는 병적 골절이라 합니다. 골절은 손상 정도와 방향에 따라서 분류됩니다. 또한 손상기전 개방 유무, 전위 형태,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분류하기도 합니다.

 

 

 

손상기전

 

골절의 손상기전은 뼈에 가해진 직접 외상과 병리적 원인이나 스트레스 등과 같은 간접 외상으로 나뉩니다.

 

 

직접 외상

 

타진(tapping)은 뼈의 좁은 면적에 순간적으로 작은 외력이 작용할 때 발생합니다. 으깸(crush)은 뼈의 넓은 부위에 큰 힘이 압박으로 작용할 때 발생합니다. 관통(penetrating)은 총탄이나 칼과 같은 금속물이 큰 힘으로 작은 면적에 작용할 때 발생합니다.

 

 

간접 외상

 

찢김(avulsion)은 강하게 수축한 근육의 장력이 뼈에 가해질 때 발생합니다. 각형성(angulation)은 주로 긴 뼈에 굽힘 부하가 가해질 때 발생합니다. 돌림(rotational)은 긴 뼈의 양 끝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돌림력이 작용할 때 발생합니다. 압박(compression)은 위아래로 작용하는 상반된 외력이 작용할 때 발생합니다. 긴장"(stress)은 오랜 기간 일정하게 반복되는 작은 부하가 가중되어 발생합니다. 병적(pathologic)은 뼈의 종양, 뼈엉성증, 감염 등의 질환은 뼈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작은 외상으로도 쉽게 골절이 발생합니다.

 

 

 

분류

 

골절의 정도에 따른 분류

 

완전 골절

 

완전 골절(complete fracture)은 양쪽 뼈겉질의 연속성이 손실된 경우로 성장이 끝난 성인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매몰(감입) 골절은 골절된 뼈의 한 끝이 다른 뼈의 속에 그대로 남아 있는 골절로 주로 넙다리뼈 목 골절에서 볼 수 있으며 전위는 적은 편입니다. 분쇄 골절은 골 절편 수가 3편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비교적 둔탁한 외력이 광범위하게 가해졌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 그리고 넙다리뼈나 정강뼈처럼 긴 뼈에 완전 골절 두 개가 동시에 존재할 경우 분절 골절이라고 합니다.

 

개방 골절(open fracture)은 골절된 뼈의 먼쪽부분이 물렁 조직을 뚫고 피부 밖으로 돌출된 골절로 감염의 위험이 높습니다. 합병 골절(complicated fracture)은 골절 주위의 중요한 조직이나 기관에 손상을 일으키는 골절입니다. 압박 골절(compression fracture)은 순수한 압박으로 인해 단단한 뼈의 목부분이 해면성 조직으로 눌려 들어가서 뼈끝과 뼈 몸통 끝을 경유하는 Y형 또는 T형 골절을 말합니다.

 

 

불완전 골절

 

불완전 골절(incompleted fracture)은 한쪽 겉질뼈의 연속성만 소실된 경우로 소아의 뼈는 탄력성이 크기 때문에 불완전 골절이 주로 발생합니다. 생나무 골절은 주로 소아에서 많이 일어나는 골절로 한쪽 뼈 겉질이 일부가 떨어져 나간 상태입니다. 균열 골절은 뼛조각의 전위가 없으면서 뼈에 금만 간 상태입니다. 관통 골절은 관통 총상과 같이 큰 힘이 좁은 부위에 작용했을 때 발생하며 고속 총탄과 저속 총탄 손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고속 총탄의 경우에는 광범위한 물렁조직 손상과 분쇄 골절이 발생하며, 저속 총탄의 경우에는 물렁 조직의 손상이 적고, 뼛속에 박히는 불완전 골절이 발생합니다. 함몰 골절은 뼈의 일부분이 강한 힘에 눌려 발생한 골절로 주로 멀 뼈에서 발생하며 높은 곳에서 머리에 약간 무거운 물건이 떨어졌을 때 뼈의 일부분이 접시 모양으로 들어간 골절을 말합니다.

 

 

 

 

골절선의 형태에 의한 분류

 

골절선은 크게 가로, 경사, 나선, 세로 골절로 나눌 수 있으며, 골절선의 형태는 치료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가로 골절은 주로 둔탁한 외력이 순간적으로 직선상으로 작용할 때 발생하며 광범위한 물렁조직물렁 조직 손상을 일으킵니다. 맞춤되면 전위를 일으키는 경향이 적어서 안정성 골절이라고도 부릅니다. 경사 골절은 간접적 외력에 의한 경우가 많고 비교적 적은 물렁 조직 손상이 발생합니다. 골절선은 짧고 둥글며, 혈액순환과 영양분 흡수 유류가 높기 때문에 골절 치유가 좋습니다.

 

나선 골절은 간접적 외력에 의한 경우가 많고, 비교적 적은 물렁조직 손상이 발생합니다. 골절선은 길고, 골절면이 넓으며, 전위가 넓고 맞춤 후 쉽게 변위를 일으켜 불완전성 골절이라고도 합니다. 세로 골절은 골절선이 뼈의 세로축을 따라 형성된 골절입니다.

 

 

 

골편의 전위 형태에 의한 분류

 

전위된 골절은 전위에 의해 생성된 변형에 의해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가쪽 전위는 골절 시 뼈의 위치가 수평으로 이동한 것으로 위팔뼈 몸통이나 넙다리뼈 몸통 골절 시 주로 발생합니다. 각형 성 전위는 비교적 긴 뼈에서 외력이 측면에서 가해졌을 때 골절 부분에 각이 형성된 형태의 골절로 경사-가로 골절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중복 전위는 한 뼈의 골절 부위 끝이 서로 겹쳐진 형태로 외형적으로 뼈의 길이가 짧아집니다. 돌림 전위는 골절된 뼈의 먼쪽 뼛조각이 세로축을 중심으로 돌림 된 것을 말하며, 골절된 뼈에 근육이나 기타 원인에 의하여 돌림력이 작용했을 때 발생합니다. 

 

 

 

특수한 원인에 의한 분류

 

특수한 원인에 의한 분류에는 피로 골절 및 병적 골절, 외상이 있습니다. 피로 골절은 뼈의 일정한 부위에 반복되는 적은 힘을 견디기 못하여 발생된 불완전 또는 완전 골절을 말합니다. 호발 부위는 정강뼈, 종아리뼈, 발 허리뼈, 넙다리뼈, 두덩뼈, 궁둥뼈, 위팔뼈, 자뼈, 빨 꿈치 뼈, 목말 뼈, 발배뼈, 갈비뼈, 척추의 관절 사이 부분입니다. 대표적으로 장거리 행군에 의한 제2, 3, 4 발 허리뼈 골절과 장거리 육상선수에 의한 정강뼈 골절 등이 있습니다. 병적 골절은 뼈에 병이 있어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생기는 골절이며, 뼈엉성증이 있거나 종양 혹은 골수염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