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고리 골절
개요
갈고리 골절은 팔꿈치 관절 불안정이 있는 사람에서 나타나며 단독으로 일어나는 것은 드물고, 일반적을 팔꿈치 관절 뒤쪽 탈구가 있는 환자에서 나타납니다. 팔꿈치 관절 손상 환자의 10~15%에서 발생합니다. 갈고리 돌기의 안쪽면은 안굽이(varus)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자쪽곁인대의 이는곳(origin)을 제공하며, 갈고리 돌기는 재발성 뒤쪽 탈구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손상기전
일반적으로 위팔뼈의 먼 쪽이 갈고리 돌기에 대해 팔꿈치 관절에 안 굽 이력이 강하게 주어졌을 때와 팔꿈치 관절의 뒤쪽 탈구에 의해 발생하며, 위팔근의 정지하는 부분이 갈고리 돌기이기 때문에 위팔근의 급격한 수축에 의한 찢김 골절로 발생합니다.
분류
갈고리 골절의 분류 방법은 Regan-Morrey 분류가 일반적입니다. 1형은 갈고리의 끝의 찢김 골절이며 일반적으로 외과적 치료는 하지 않습니다. 2형은 갈고리 뼈 갈고리 뼈 높이의 50% 미만의 골절이며 외과적 치료는 하지 않습니다. 3형은 갈고리 뼈 높이의 50% 이상의 골절입니다.
임상적 특성
갈고리 골절 이후 팔꿈치 관절 변형, 부종, 통증이 나타납니다. 아래팔과 손목에도 통증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검사 및 평가
시진과 촉진을 통해 안굽이와 밖 굽이 팔꿈치 변형, 부종과 압통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팔꿈치 관절 굽힘과 폄, 엎침과 뒤침 관절 가동범위와 불안정성을 검사하고 염발음이 발생하는지도 검사합니다. 신경혈관의 손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감각과 맥박을 확인합니다.
중재
의학적 중재
팔꿈치 관절 불안정이 있을 경우는 내적 고정을 시행하고 골 절편이 큰 경우나 뼈가 약할 경우는 외적 고정을 시행합니다.
물리치료적 중재
갈고리 돌기에 작은 전위가 있고 팔꿈치 관절 안정성이 있을 경우는 2~3일간 고정 후 관절 가동범위 운동을 실시합니다.
노뼈 머리 골절
개요
노뼈 머리 골절은 팔꿈치 관절에서 버섯머리 모양의 부분에서 골절로 노뼈 머리는 여러 조각으로 깨집니다. 노뼈 머리 골절 환자의 3~10%에서 팔꿈치 관절 탈구가 동반되며 팔꿈치 관절 탈구의 5~10%에서 노뼈 머리 골절을 동반합니다.
손상기전
노뼈 머리는 팔꿈치 관절에서 가쪽번짐력을 제한하는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물 중의 하나이며 성인에서 팔꿈치 관절 골절 중 가장 흔한 부위이기 때문에 팔이나 손으로 넘어지면서 손이나 아래팔을 통하여 팔꿈치 관절에 전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합니다.
분류
노뼈 머리 골절의 분류는 Mason 분류가 있습니다. 1형은 2mm 미만의 관절 내 전위와 돌림에 역학적 제한이 없습니다. 2형은 2mm 이상의 관절 내 전위와 아래팔 돌림에 역학적 제한이 있습니다. 3형은 2mm 이상의 관절 내 전위와 팔꿈치 관절 움직임에 역학적 제한이 있습니다. 4형은 탈구가 동반된 노뼈 머리 2mm 이상의 관절 내 전위가 있습니다.
임상적 특성
팔꿈치의 바깥쪽에 심한 통증이 있고 특히, 출혈로 인하여 골절의 바깥쪽이 부어오를 때 통증이 심하게 악화되며 부종이 심해질 때 관절운동범위의 소실이 있습니다. 아래팔 뒤침과 엎침에 심한 제한이 나타납니다. 팔꿈치 관절 90도 굽힘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어깨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검사 및 평가
시진과 촉진을 통해 팔꿈치 관절의 가쪽면을 따라 압통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팔꿈치 관절 굽힘과 폄 그리고 아래팔의 엎침과 뒤침을 확인합니다. 특히 아래팔의 뒤침과 엎침은 관절 가동범위 확인은 매우 중요합니다. 관절 불안정성 검사를 위해 안굽이와 밖 굽이 팔꿈치 관절 안정성 검사를 시행합니다. 뼈 사이 막을 따라 통증과 압통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중재
팔꿈치 관절 탈구를 동반한 노뼈 머리 골절의 치료는 팔꿈치 관절 도수 맞춤을 시행한 후 노뼈 머리 골절 양상에 따라 방법을 결정하며, 단순 노뼈 머리 골절과는 달리 도수 맞춤 후 팔꿈치 관절의 안정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분쇄 골절에서도 노뼈 머리는 가능하면 보존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안쪽 인대 손상 시 노뼈 머리가 가쪽번짐력에 대한 안정 구조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골절의 분쇄가 심해 내적 고정이 힘든 경우에는 조기 절제술을 시행함으로 조기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뼈 되기 근육염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나, 팔꿈치 관절의 심한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손상된 안쪽 및 가쪽 곁 인대에 대한 봉합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노뼈 머리 절제술 후 노뼈 머리 치환술을 시행하는 것이 팔꿈치 관절의 안정성을 회복하는 표준적인 치료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팔꿈치 머리 골절
개요
팔꿈치 머리 골절은 청장년층에서는 격한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기 쉽고 노인층에서는 가벼운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직접 손상은 분쇄 골절이 동반되고, 간접 손상은 팔꿈치 관절을 약간 굽힘 시킨 상태에서 위 팔세 갈래근의 갑작스러운 수축력이 작용하여 찢김 골절이 발생하고 가로나 사선 골절이 발생합니다.
손상기전
팔꿈치 관절에서 도르래 파임과 관절하는 도르래는 굽힘과 폄의 움직임을 제공하고 팔꿈치 관절 안정성에 기여하고 위 팔세 갈래근과 팔꿈치근은 팔꿈치 머리에 닿습니다. 직접 손상은 넘어질 때 팔꿈치 관절에 충격을 가해졌을 때나 야구공이나 교통사고로 인해 계기판에 직접적인 충격에 의해 발생합니다. 간접 손상은 넘어질 때 팔을 뻗으면서 넘어질 때 위 팔세 갈래근의 급격한 수축에 의해 찢김 골절로 발생합니다.
임상적 특성
골절 후 갑작스러운 심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팔꿈치 관절 불안정성, 부종, 압통, 1개나 그 이상의 손가락에 무딘 감각과 팔꿈치 관절 움직임 시 통증이 발생합니다.
검사 및 평가
시진과 촉진을 통해 팔꿈치 관절의 뒤쪽면을 따라 압통과 통증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팔꿈치 관절 폄할 때 불안정성은 위 팔세 갈래근의 찢김 골절을 의미합니다.
중재
의학적 중재
전위 범위가 2mm 이상이거나 팔꿈치 관절을 90도 이상 굽혔을 때 분리가 나타난 경우는 수술적 중재를 시행합니다. 수술방법을 시행하였을 때는 비수술적 치료에서보다 더 파리 운동을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리치료적 중재
전위의 범위가 2mm 이내이거나 팔꿈치 관절을 90도 이상 굽혔을 때 더 이상 분리가 없거나 환자가 중력에 의해 능동적으로 팔꿈치 관절을 폄할 수 있을 때 물리치료 중재를 실시합니다. 긴팔 석고 고정 후 3주 정도 지나면 팔꿈치 관절 운동을 제한된 범위 내에서 실시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