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통증2 어깨관절 탈구의 분류와 손상기전에 따른 관리 개요 어깨관절의 해부학적 구조는 절구 관절 어깨뼈의 얕은 위팔 오목 관절로 인체의 관절 가동범위는 가장 크지만, 안정성은 해부학적으로 불안정 상태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안정성을 보강해주는 구조물은 관절 테두리와 주변 물렁 조직인 인대, 근육이 보완해주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깨관절은 얕은 관절 오목, 위팔뼈 머리와 관절 오목의 접촉 등에 의한 불안정한 관절로 인체의 관절 중 탈구가 쉽게 일어납니다. 해부학적 위치에 의한 분류는 호발 순서에 따라 앞쪽, 뒤쪽, 아래쪽, 위쪽 탈구가 있습니다.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곳은 앞쪽 탈구이며, 부리 돌기 아래 탈구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손상기전 어깨관절은 접촉면이 1/3 정도에 지나지 않으므로 관절 가동범위는 넓지만 매우 불안정한 관절입니다... 2022. 4. 4. 어깨관절부 위팔뼈 몸통 및 몸쪽 골절의 특성 위팔뼈 몸통 골절 개요 위팔뼈 몸통 골절은 비교적 흔한 골절로 팔 골절 중 약 20%, 전체 골절 중 약 3~5% 정도에서 발생합니다. 위팔뼈 몸통 골절은 어깨와 팔꿈치 사이에 있는 위팔뼈의 중간 부분이 외력으로 골절된 상태를 말합니다. 위팔뼈 몸통 골절은 청, 장년층에 외상으로 인한 발생빈도는 높은 편이며 뼈 유합은 양호한 편입니다. 합병증으로 노 신경 고랑 손상으로 인해 노신경 마비를 동반합니다. 손상기전 젊은 환자는 대부분 강한 외력에 의해서 발생되고, 노인은 뼈엉성증으로 약한 외력에도 발생합니다. 대부분 외력이 직접 위팔뼈에 작용되어 발생한 가로 골절, 뼛조각이 3개 이상으로 발생되는 분쇄 골절과 손을 바닥에 짚고 넘어지는 등 간접 작용으로 인해 비스듬히 골절되는 경사 골절, 돌림력에 의해 발생하.. 2022. 4. 2. 이전 1 다음